인문학/정말 좋은 글들

노무현 대통령은 언젠가 글쓰기를 음식에 비유해서 얘기한 적도 있다.

휴먼스테인 2015. 12. 22. 14:00

노무현 대통령은 언젠가 글쓰기를 음식에 비유해서 얘기한 적도 있다.

 

1. 요리사는 자신감이 있어야 . 너무 욕심부려서도 되겠지만. 쓰는 사람도 마찬가지야

2. 맛있는 음식을 만들려면 무엇보다 재료가 좋아야 하지. 싱싱하고 다르고 풍성할 수록 좋지. 글쓰기도 재료가 좋아야 .

3. 먹지도 않는 음식이 상만 채우지 않도록. 군더더기는 빼도록 하게.

4. 글의 시작은 애피타이저, 글의 끝은 디저트에 해당하지. 이게 중요해.

5. 핵심 요리는 앞에 나와야 . 두괄식으로 써야 한단 말이지. 다른 요리로 미리 배를 불려 놓으면 정작 메인요리는 맛있게 먹는 법이거든

6. 메인요리는 일품요리가 되어야 . 해장국이면 해장국, 삼계탕이면 삼계탕, 한정식같이 이것저것 나오는 아니라 하나의 메시지에 집중해서 써야 하지.

7. 양념이 많이 들어가면 느끼하잖아. 과다한 수식어나 현학적 표현은 피하는 좋지.

8. 음식 서빙에도 순서가 있다네. 글도 오락가락, 중구난방으로 쓰면 . 순서가 있지.

9. 음식 먹으러 식당 분위기 파악이 필수이듯이, 글의 대상에 대해 파약해야 . 사람들이 일식당인 알고 갔는데 짜장면이 나오면 얼마나 황당하겠어.

10. 요리마다 다른 요리법이 있듯 글마다 다른 전개방식이 있는 법이지.

11. 요리사가 장식이나 기교로 승부하려고 하면 곤란하네. 글도 진심이 담긴 내용으로 승부해야 .

12. 간이 맞는지 보는 글로 치면 퇴고의 과정이라 있지.

13. 어머니가 해주는 집밥이 최고지 않나? 글도 그렇게 편안하고 자연스러워야 .

 

「강원국, 대통령글쓰기, p 22~23,메디치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