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사랑과 性

누가 한 입 베어 먹은 쿠키를 당신이라면 먹겠습니까

휴먼스테인 2013. 12. 15. 23:47

 

순결한 여자의 가치는 1961년 경구 피임약이 도입되면서 극적으로 바뀌었다.

임신 걱정 없이 자유롭게 섹스를 할 수 있게 되면서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성 혁명이 촉발되었다.

실제로도 여성들이 1960년 전후에 직접 보고한 혼전 섹스의 비율에는 상당한 차이가 난다.

앨프리드 킨제이가 거의 6,000명에 이르는 미국 여성을 조사하고 1953년에 발표한 획기적인 보고서에 따르면

40퍼센트의 여성이 결혼 전에 이미 처녀가 아니었다고 응답했다.

미국 여성 1,600명 이상을 조사한 1994년의 한 보고서를 보면,

1953년에서 1974년 사이에 태어난 여성의 약 80퍼센트가 혼전 섹스를 경험했다고 답변했다.

여러 건의 연구 보고서는 1970년대에 여성들의 혼전 성활동이 크게 증가했다고 밝히고 있다.

여성이 처녀성을 잃는 평균 나이도 이 시기에 급격하게 바뀌었다.

1950년에는 여성이 처음으로 성관계를 하는 평균 연령이 20세였다(그냥 맞다고 치면).

2000년에는 평균 연령이 16세로 낮아졌다.

1950년대 이후로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처녀성의 가치가 어떻게 변했는지를 알기 위해

통계까지 들먹일 필요도 없다.

대중문화를 한 번 들여다보자.

에벌리 브라더스의 1957년 히트곡「웨이크 업 리틀 수지(Wake Up Little Susie)」에는

영화관에서 곯아떨어졌다가 통금 시간을 놓친 커플의 얘기가 등장한다.

우리는 잠이 들었어요. 집에서는 거위 요리가 나왔죠. 우리는 평판이 추락하고 말았어요.”

이 노래는 당시 혼전 섹스를 했다가는 사회적으로 외면당했음을 생생하게 보여 준다.

이제 그 재난을 로드 스튜어트가 1976년에 발표한

「투나이츠 더 나이트(고나 비 올라이트)(Tonight’s the Night(Gonna Be Alright)와 비교 대조해 보자.

이 노래의 가사는 처녀에게 연인을 향한 자신의 욕망을 받아들이라고 탄원한다.

 

당신의 날개를 펴세요. 내가 들어갈 수 있게.”

 

섹스를 전혀 부끄러워하지 않으며, 아무도 그들을 제지하지 않는 것이다.

우리 연구에 참여한 많은 여성은 처녀성을 성스럽게 보지도 않았고, 소중하게 생각하지도 않았다.

몇몇 여성은 처녀성을 끝장내고 싶을 뿐이었던 어떤 것으로 보았다.

마치 맛이 쓴 기침약을 먹는 것처럼 말이다.

 

 

다만 처녀이기를 그만두고 싶었던 것 같아요. 처녀여도 상관은 없었지만 그만 벗어나고 싶었죠.

-이성애자 여성. 25

 

 

열일곱 살 때 처녀이기를 그만두었습니다. 내가 아는 모두가 섹스를 하고 있었거든요.

처녀인 채로 대학에 진학할 걸 생각하니 끔찍했죠.

그때는 좀 무섭기도 했던 것 같아요. 하지만 돌이켜보건대 솔직히 후회는 없습니다.

-이성애자 여성. 21

 

 

고등학교 때, 아마도 내가 친구들 가운데서 마지막으로 처녀성을 잃었을 거예요.

대다수가 열세 살쯤에 섹스를 했더라고요. 열여섯 살 때 한 나는 그 애들보다 한참을 뒤진 셈이었죠.

섹스와 성행위를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걸 입증해야 했고, 그래서 섹스를 했습니다.

친구들에게 그 사실을 알릴 수 있었다면 좋았을텐데 말이에요.

-이성애자 여성. 27

 

 

 

미국의 많은 여성이 처녀성에 보이는 이러한 호방한 태도에 대한 반작용으로

처녀성(실제하건 실제하지 않건)이 바야흐로 정치 의제로까지 부상했는지도 모른다.

전직 대통령 조지W. 부시는 금욕 캠페인에 10억 달러 예산을 승인했다.

이 캠페인이 남녀 모두를 대상을 하기는 했지만 많은 이들이 캠페인의 주된 목표가

혼인 관계 밖에서 이루어지는 섹스는 여자들의 악덕이라는 믿음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철썩 같이 믿고 있다.

그런 섹스가 동의하에 이루어지는지, 또 얼마나 안전한지는 관심도 없고 말이다.

 

누가 한 입 베어 먹은 쿠키를 당신이라면 먹겠습니까?”

 

같은 구호들은 사람들에게 수치심을 갖게 해 결혼할 때까지 순결을 지키게끔 의도했다.

금욕 과정을 이수한 젊은이들은 은반지를 받았고, 자신의 순결 서약을 공개적으로 드러내게 했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으로 젊은이들의 성 활동 관행이 성공적으로 바뀌었을까?

미국 보건 복지부가 2007년에 발표한 보고서는 그 프로그램으로 젊은이들의 금욕률이 영향을 받았다는 증거를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고 밝혔다.

 

 

by Cindy M. Meston and David M. Buss, Why women have sex, p220~222,Cindy M. Meston and David M. Buss c/o Brockman Inc

'인문학 > 사랑과 性'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부싸움  (0) 2013.12.18
처녀막(hymen)  (0) 2013.12.17
미켈란젤로 효과  (0) 2013.12.15
유일한 기준이 性이라면 그건 포르노예요.  (0) 2013.12.15
집안이 불행한 사람은 빨리 사랑에 빠진다  (0) 201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