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과학

야머스(Iamus)

휴먼스테인 2018. 3. 20. 18:39

진정한 예술적 창의력은 오직 인간만이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널리 퍼져 있다.

『타임』지의 레브 그로스먼이 말하는 것처럼 예술 작품의 창작은 오직 인간만이 할 수 있다고 우리가 믿는 활동이다.

예술적 창작은 자아 표현의 활동인데, 자아가 없다면 이러한 일을 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컴퓨터도 어엿한 예술가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을 받아들이려면 기계의 본질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

 

2004년에 나온 영화<아이, 로봇>에서 윌 스미스가 연기한 주인공은 로봇에게 이렇게 묻는다.

로봇이 교향곡을 작곡할 수 있나? 로봇이 빈 화폭을 걸작품으로 탈바꿈 시킬 수 있나?”

로봇은 이렇게 대꾸한다.

당신은 할 수 있나?”

이 말은 압도적 다수의 인간도 이렇게 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2015년의 현실 세계에서 윌 스미스가 똑 같은 질문을 던졌다면 로봇은 좀 더 단호하게 이렇게 대답했을 것이다.

예스!”

2012 7월에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심연 속으로(Transits-Intro an Abyss)>라는 곡을 연주했다.

어떤 비평가는 이 작품이 예술적이고 듣기 좋았다고 평했다.

이 일은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가 순전히 기계가 만든 곡을 연주한 첫 번째 사례가 되었다. 이 곡의 작곡자는 야머스(Iamus), 야머스는 음악적으로 특화된 알고리즘을 구동하는 컴퓨터의 집단이다.

새들의 언어를 알아듣는 사람으로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야머스는 스페인의 말라가 대학교 연구팀이 설계했다.

이 시스템은 우선 곡을 연주할 악기의 종류 같은 최소한의 정보만으로 작업을 시작한다.

그 뒤로부터는 인간의 도움을 전혀 받지 않고 매우 복잡한 곡을 작곡하는데, 많은 경우 이 곡을 들은 청중은 감동한다.

작곡에 걸리는 시간은 몇 분에 불과하다.

야머스는 모더니스트 클래식 스타일로 이미 수백만 곡을 작곡했으며, 앞으로는 다른 장르의 음악 작곡에도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유레카와 마찬가지로 야머스도 이 기술을 상업화하려는 벤처기업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멜로믹스 미디어(Melomics Media)라는 이름의 이 회사는 아이튠즈 같은 온라인 스토어에서 음악을 판매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 가지 다른 점은 야머스가 작곡한 곡은 로열티가 없기 때문에 구매자들이 자기 마음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마틴포드지음, 로봇의 부상, p178~179,세종서적㈜」

 


'인문학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0억년 미스터리  (0) 2020.03.11
인공지능의 가장 중요한 이점  (0) 2018.05.09
무제  (0) 2018.03.18
로봇의 부상  (0) 2017.06.02
작은보호탑해파리[전환 분화]  (0) 2014.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