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사랑과 性

오셀로의 오류(Othello’s error)”

휴먼스테인 2013. 12. 5. 11:58

부정과 배신은 많은 경우 철두철미하게 은폐되기 때문에 그것을 감지하는 것도

흔히 개연적으로 관계가 있는 단서들에 기초할 수밖에 없다.

불이 안 났지만 연기만으로도 화재경보가 발령되는 것처럼 질투하는 사람들은

심리학자 폴 에크먼(Paul Ekman)이 명명한 오셀로의 오류(Othello’s error)”를 범한다.

에크먼은 자신의 저서 『감정의 실체를 밝힌다(Emotions Revealed)』에서

셰익스피어의 희곡에 나오는 오셀로와 데스데모나 이야기를 꺼낸다.

오셀로가 데스데모나에게 간통과 배신을 자백하라고 요구하자

그녀는 그의 경쟁자로 간주되는 존재인 카시오를 데려와 대질시켜 줄 것을 청한다.

이에 오셀로는 자기가 카시오를 이미 죽였다고 말한다.

데스데모나가 그 소식에 비통함을 숨기지 않자 오셀로는 그녀가 죽은 애인을 애도하는 것이라고 추정한다.

 

에크먼은 이렇게 말한다.

오셀로의 착오는 데스데모나의 기분을 알아채지 못한 게 아니었다.

그는 그녀가 괴롭고, 두려워한다는 것을 알았다.

오셀로의 오류는 감정들의 출처가 하나뿐이라고 믿었다는 데 있다.

그는 데스데모나의 비통함이 애인으로 추정되는 자가 죽었다는 말을 들었기 때문이라고.

그녀의 두려움이 배신을 저지른 불충한 아내의 공포라고 판단했다.

오셀로는 데스데모나의 괴로움과 두려움이 다른 원인에서 비롯한 것일 수도 있음을 고려하지 않고, 그녀를 살해한다.

그녀의 괴로움과 두려움은 질투가 심한 남편이 자신을 죽이려 한다는 걸 눈치 챈 무고한 아내의 반응은 아니었을까?

그녀가 자신의 무고함을 입증한 방법이 전혀 없다는 걸 순간적으로 간파했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by Cindy M. Meston and David M. Buss, Why women have sex, p162~163,Cindy M. Meston and David M. Buss c/o Brockman Inc